GROWTH MARKETING

GROWTH MARKETING

평균의 허상에서 벗어나, 주도적 성장 돕는 ‘마케터 커리어 프레임워크’

평균주의 사회에서 탈피하는 마케터 커리어 설계법에 대해 토드 로즈의 다크호스 전략으로 기반으로 진정한 마케팅 전문성을 갖추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위그로스

2025년 8월 18일

위그로스

2025년 8월 18일

한국 사회의 주입식 교육과 비교의식의 딜레마

한국의 교육환경 및 직장 문화을 살펴보면 점수·등수 등 '평균'이라는 허상에 사로잡힌 채, 모든 사람을 동일한 기준으로 줄 세우는 평균주의가 만연합니다. 이는 토드 로즈가 지적했듯이 "평균적인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진실을 외면한 채 끊임없이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살아갑니다.

이러한 문제는 교육 시스템에서부터 시작됩니다. 한국의 주입식 교육은 학생의 흥미, 의욕, 능력, 이해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선정한 소정의 교육내용을 학생에게 주입시키는 방식입니다. 그 결과 자기 의견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창의적 사고와 토론보다는 정답 암기와 획일적 성과가 우선시됩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평균주의에 입각한 비교의식이 한국인의 행복을 갉아먹는다는 점입니다.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지수는 OECD 38개국 중 35위에 불과합니다. 행복 연구의 권위자 에드 디너(Ed Diener)는 한국인이 높은 소득에 비해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원인으로 ‘돈을 지나치게 중요시하는 마음과 다른 사람과의 비교의식’ 두 가지를 꼽았습니다.


출처: 주입식 교육의 문제점 - 스스로 생각하지 못하는 바보를 만든다

이러한 환경에서 성장한 마케터들은 어떨까요? ‘정답’이라는 틀에 갇혀 성과 자체로만 귀결되는 사고방식을 가진 채 마케팅 현장에 뛰어듭니다. 시장 트렌드 및 시대에 따라 변모하는 비정형화된 마케팅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채 남들이 하는 마케팅, 평균적인 성과에 안주하게 됩니다. 하지만 진정한 마케팅 전문성은 결코 표준화된 공식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위그로스가 마케팅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2025년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마케팅 실무자 61.8%가 자신의 역량을 ‘평균 수준’으로 평가했고, 47.1%가 ‘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을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 꼽았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마케터들은 “내 실력은 과연 평균인가?”라는 고민에 묶인 채 어떻게 스스로를 차별화할지 막막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 같은 평균주의의 한계를 넘어서는 해결책은 토드 로즈의 '다크호스 전략’에 있습니다. 다크호스는 평균적으로 획일화 된 성공 공식을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여 성공한 사람들을 일컫습니다. 이들의 핵심 전략은 단순합니다. 충족감(Fulfillment)을 우선시하면, 결과는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평균이라는 허상에서 벗어나라: 평균주의 교육의 한계와 다크호스의 등장 배경

출처: The End of Average: Todd Rose's '8 for 8'

미국 하버드 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이며 교육신경과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인 토드 로즈(Todd Rose)는 《평균의 종말 : 동일성을 중시하는 세상에서 성공하는 방법》(The End of Average: How We Succeed in a World That Values Sameness)을 통해 이제껏 교육을 속여온 ‘평균’이라는 허상을 깨부수는 평균의 종말의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중학교 때 ADHD 장애 판정을 받은 뒤 성적 미달로 고등학교를 중퇴하며 평생 골칫덩이 취급받았습니다. 하지만 학교에서는 인정받지 못했던 자신만의 ‘고유한 재능’을 발견해 지역대학에 입학하고 야간 수업을 들으며 주경야독한 끝에 하버드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인간발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19세기 통계학자 아돌프 케틀레(Adolphe Quetelet)가 만들어낸 '평균적 인간(l'homme moyen)'이라는 개념이 현재까지 교육과 사회 시스템을 지배하고 있지만, 실제로 평균에 맞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어떤 개개인과 관련된 결정을 내려 하는 순간이라면 평균은 쓸모가 없다. 평균적인 신체 치수 따위는 없듯 평균적인 지능, 평균적인 성격 같은 것도 없다. 평균적 학생이나 평균적 직원도 없고 그 점에서라면 평균적 두뇌 역시 없다.

평균의 시대를 특징짓는 2가지 가정은 무엇인가? 평균이 이상적인 것이며 개개인은 오류라는 케틀레의 신념과 한 가지 일에 탁월한 사람은 대다수의 일에서 탁월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골턴의 신념이다. 그러면 개개인의 과학이 내세우는 주된 가정은 뭘까? 개개인성이 중요하다는 신념이다. 즉 개개인은 오류가 아니며 개개인을 (재능, 지능, 인성, 성격 같은) 가장 중시되는 인간 자질에 따라 단 하나의 점수로 전락시켜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평균주의로 인한 마케터 커리어패스 설계의 어려움

출처: In Defense of Being Average. Mark Manson

《평균의 종말(The End of Average)》에서 토드 로즈(Todd Rose)는 평균이라는 잣대로 개인의 역량과 성공 경로를 판단하는 사회적 관행에 근본적 의문을 던집니다.

개발자 직군의 경우 백엔드, 프론트엔드 등 경계가 분명하고 커리어패스 설계 역시 비교적 체계적입니다. 예를들어 폴란드의 데이터 컨설팅 기업 앱실론(Appsilon)은 개발자 커리어 프레임워크 “Appsilon Career Paths document”에 대해 발표하며, IT 개발자의 표준화된 역할 분류와 경력 개발 로드맵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케팅 직군은 그렇지 않습니다. 브랜딩, 콘텐츠, 퍼포먼스, 그로스, CRM 등 분야가 다양하고 회사별 직무정의 역시 제각각입니다.

한국의 마케터들에게 이러한 평균주의의 한계는 창의적 사고 능력을 근본적으로 제약합니다. ‘정답이라는 틀에 갇혀 그저 답만 찾고 있는 주입식 교육’을 받은 세대들은 마케팅 현장에서도 동일한 사고 패턴을 보입니다. ‘정답을 찾는 교육’에 익숙한 세대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경험하게 됩니다.

  • 창의적 학습방식의 부재: 심층 소비자 분석, 트렌드 예측 등 마케터에게 필수적인 창의적 접근을 억제합니다.

  • 수직적 사고구조: 실제 현장 데이터보다 조직 내 지위와 의중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향으로 전략적 의사결정이 약화됩니다.

  • 이분법적 사고: 다양한 변수와 실험이 중요한 마케팅 현장에서 ‘정답/오답’식의 이분법적 시각은 실행의 폭을 좁힙니다.

2025년 위그로스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마케터의 80%가 이직 계획을 고려하고 있고, 33.6%는 업무 환경에 답답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특히 “내가 지금 마케팅 직무를 잘하고 있는가?”라는 불확실성이 지속되어 커리어 방향성 설계에 어려움을 겪는 실정입니다.

개발자처럼 명확한 경로와 정의가 부여되지 않는 마케터의 세계에서, 결국 중요한 것은 평균을 벗어나 각자의 개성과 강점을 포트폴리오로 구체화하는 능력입니다. 마케터 개개인의 차별화된 성장 전략과 데이터 기반의 분석 능력이 더더욱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다크호스 4단계 방법론에 기반한 2025년 마케터 커리어패스

토드 로즈는 평균주의에서 벗어나 성공을 이룬 다크호스들의 공통점을 연구하며 4단계 성공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개발자들이 백엔드-프론트엔드-풀스택 등 명확한 경로를 가진 것처럼, 마케터 역시 체계적인 성장을 위한 ‘마케터 커리어 프레임워크’가 필요합니다. 위의 토드 로즈의 다크호스 4단계 성공 방법론을 그로스 마케터의 2025년 마케터 커리어패스 버전으로 적용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개발자들이 백엔드→풀스택→아키텍트로 성장하듯, 마케터가 퍼포먼스→그로스→마케팅 올라운더로 성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평균적인 마케터에서 벗어나 데이터와 기술을 무기로 한 차세대 그로스 마케팅 전문가로 발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출처: Marketing Roadmap | Editable Marketing Templates

1단계: Micro-motives(미시적 동기 발견) - 마케터 정체성 확립 (0~6개월)

마케팅 적성 진단 매트릭스: 데이터 VS 크리에이티브 성향 파악

  • 숫자와 그래프 해석에서 흥미를 느끼는가? → 데이터 드리븐 마케터

  • 스토리텔링과 비주얼 콘텐츠 기획에 몰입하는가? → 브랜드/콘텐츠 마케터

  • 비즈니스 전체 관점으로 고객 행동 패턴 분석과 최적화에 관심이 높은가? → 그로스 마케터

  • Paid Media 중심의 성과 개선에 흥미가 있는가? → 퍼포먼스 마케터

기초 툴스택(Tool-Stack) 습득: 데이터 분석 도구

  • Google Analytics 4, Mixpanel: 웹사이트 트래픽 분석

  • Google Ads & Facebook Ads Manager: Paid 광고 캠페인 운영 실습

  • Hotjar/FullStory: 사용자 행동 분석 히트맵 툴

  • Tabluea/Looker Studio: 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

기초 툴스택(Tool-Stack) 습득: 업무 자동화 도구

  • Zapier/Make/N8N: 업무 자동화 툴

  • Notion/Airtable: 마케팅 프로젝트 관리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초 툴스택(Tool-Stack) 습득: AI 보조 도구 활용

  • ChatGPT/Claude: 콘텐츠 기획 및 카피라이팅 보조

  • Midjourney/DALL-E: 크리에이티브 소재 생성

  • Perplexity: 시장 조사 및 트렌드 분석

출처: Agile Software Development Requires Core Skills and Continuous Learning

2단계: Choices(전문영역 선택) - 마케터 전문성 구축 (6개월~2년)

Core Skill Development: 퍼포먼스 마케팅 기반

  • Google Ads, Facebook Ads, 네이버 광고 고급 설정

  • UTM 파라미터 설계 및 어트리뷰션 모델링

  • CPA/ROAS 최적화 전략 수립

Core Skill Development: 데이터 분석 심화

  • Ga4/GTM: Html/Css/JavaScript 활용하여 이벤트 기반 사용자 행동 트래킹

  • BigQuery: 고객 데이터베이스 쿼리 작성

  • Python/R: 마케팅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Tableau/Power BI/Looker Studio: 마케팅 대시보드 구축

  • Retention Cohort Analysis: 사용자 리텐션 분석

Core Skill Development: 마케팅 자동화/CRM

  • HubSpot/Salesforce: CRM 및 리드 너처링 자동화

  • Mailchimp/SendGrid/Kit: 이메일 마케팅 자동화 캠페인 운영

  • Zapier/Make/N8N: 업무 자동화 심화 활용

  • Braze/Airship: Push 메시지 및 인앱 메시지 운영

출처: Stratexecution – Strategy and Execution Office

3단계: Strategies(전략적 실행) - 시장 검증 및 영향력 확산 (2~5년)

그로스 마케팅 실무역량: Predictive Analytics and Modeling

  • Customer Lifetime Value (LTV) 예측 모델 구축

  • Churn Prediction: 이탈 고객 예측 알고리즘

  • Marketing Mix Modeling (MMM): 채널별 기여도 분석

  • Attribution Modeling: 멀티터치 어트리뷰션 설계

그로스 마케팅 실무역량: Marketing Skill Stack Architecture

  • CDP (Customer Data Platform) 설계: Segment, mParticle

  • CRM Marketing Automation: Marketo, Pardot 고급 워크플로우

  • A/B Testing Platform: VWO, Framer AB Test 등 실험 설계

  • Business Intelligence: Looker-BigQuery 고급 대시보드 구현

리더십 및 전략 기획: Cross-functional Collaboration

  • 프로덕트 팀과의 데이터 기반 기능 우선순위 설정

  • 세일즈 팀과의 MQL→SQL 전환 최적화

  • 데이터 사이언스 팀과의 예측 모델링 프로젝트 주도

  • 팀별 협업을 통한 마케팅 성과 측정 프레임워크 구축

출처: Develop an Integrated Career Pathing Framework | McLean & Company

4단계: Destination(목적지 무시하고 목표 집중) - 자기주도적 전문가 (5년~)

비즈니스 임팩트 창출

  • 매출 직결 KPI 책임: ARR, MRR, Customer Acquisition Cost 최적화

  • 제품-시장 핏(PMF) 검증을 위한 마케팅 실험 설계

  • 비즈니스 스케일업 기반 단계별 Growth Roadmap 구축

AI 기반 마케팅 프레임워크 개발

  • AI/ML 기반 개인화 마케팅 시스템 구축

  • 크로스플랫폼 통합 어트리뷰션 모델 고도화

  • AI 활용 업무 자동화 프레임워크 구축

커리어 확장성 구축: Tech-Marketing-Data 하이브리드 전문성

  • 마케팅 데이터 엔지니어링 역량 (ETL, 데이터 파이프라인)

  • 마케팅 애널리틱스 아키텍트 (데이터 웨어하우스 설계)

  • 그로스 프로덕트 매니저 (데이터 기반 제품 개발 의사결정)

커리어 확장성 구축: 업계 생태계 기여

  • 마케팅 기술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

  • 위그로스 등 커뮤니티 리더십을 통한 마케팅 노하우 공유

  • 마케팅 테크 스타트업 자문 및 투자 검토


마케터 커리어패스 실전 적용: 월별 실행 체크리스트

출처: Marketing Career Path Guide [Roles, Progression, Skills, Salaries & More!]. Cultivated Culture

토드 로즈는 평균주의에서 벗어나 성공을 이룬 다크호스들의 공통점을 연구하며 4단계 성공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1단계(0~6개월): 마케팅 기초 체력 단련

  • 주 2회: 데이터 리터러시 구축 (위그로스 Education 커리큘럼 기반)

  • 월 1회: 위그로스 마케팅 세미나/네트워킹 모임

  • 월 2회: 다양한 업계 마케터와 1:1 커피챗 (위그로스 네트워크 활용)

2단계(6개월~2년): 마케팅 전문성 집중 개발

  • 격주 1회: 실험 중심 그로스 실행 (위그로스 Growth Framework 적용)

  • 월 1회: 고급 마케팅 분석 프로젝트

3단계(2년~): 리더십 및 영향력 확산

  • 분기 1회: 다양한 AI/마케팅 툴 활용한 마케팅 방법론 실험 및 검증

  • 반기 1회: 주니어 대상 마케팅 커뮤니티 및 세미나 구축 후 교육 컨설팅 진행

  • 월 1회: 스타트업/사업자 네트워킹 정기모임


결론: 평균에서 탁월함으로, 모방에서 창조로

출처: Building Marketing Leaders of the Future | by General Assembly | The Index @ General Assembly | Medium

토드 로즈의 다크호스 철학은 “평균적 성공의 공식”이라는 하나의 틀을 넘어, 각 개인이 주체적으로 자신만의 성장 경로를 설계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앤드루 첸(Andrew Chen)은 “오늘날 커리어의 경쟁력은 표준화된 경로에 있지 않으며, 모든 사람이 똑같은 계단을 오를 때 기회는 오히려 줄어든다”고 강조합니다. 실리콘밸리의 많은 창업가와 경영자들 역시 “획일적 성과 관리와 평균적 인재에 대한 시대는 끝났다. 각자의 강점과 차별성, 그리고 빠른 실험과 실행력이 진짜 경쟁력이 되는 시대”라고 입을 모읍니다.

AI의 발전은 단순 반복 업무와 평균적 사고를 가진 마케터의 자리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누가 더 데이터를 잘 다루는지, 누가 더 효과적으로 자동화 도구와 AI를 연결하는지, 그리고 누가 더 차별화되고 확장된 관점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지가 마케팅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과거처럼 평균적 경력, 유사한 포트폴리오, 정형화된 연차별 커리어패스 만으로는 절대로 차별화를 이룰 수 없습니다.


출처: 위그로스x슬라이스 마케팅 네트워킹모임

위그로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실전 중심의 교육, 다양한 산업의 실무자들과의 네트워킹, 그리고 기업이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그로스 컨설팅을 통해 ‘AI 시대에도 실제 비즈니스와 성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마케팅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번 8월 19일에 진행되는 마케팅 네트워킹 모임을 비롯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실무 현장에서 실질적인 문제 해결 경험과 새로운 시각을 함께 쌓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제는 마케터들이 자신의 강점·호기심·경험을 연결하여 ‘나만의 실질적인 차별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평균이라는 기준은 더는 안전망이 아니라, 변화의 속도와 불확실성이 커진 환경에서 오히려 경계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누구나 평균이 될 수 있지만 진짜 성장은 각자의 고유한 방향성에서 나옵니다. 지금 당신만의 다크호스 스토리를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 평균주의를 뛰어넘는 여정에 위그로스가 든든한 동반자로 함께하겠습니다.

Read More

Read More

빅쿼리를 활용한 AARRR 기반 코호트 분석

빅쿼리를 활용한 AARRR 기반 코호트 분석은 단순한 리포팅 도구를 넘어서 비즈니스 성장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마케팅 방법론을 뛰어 넘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성과를 달성하세요.

DATA INTELLIGENCE

2025년 8월 15일

빅쿼리를 활용한 AARRR 기반 코호트 분석

빅쿼리를 활용한 AARRR 기반 코호트 분석은 단순한 리포팅 도구를 넘어서 비즈니스 성장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마케팅 방법론을 뛰어 넘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성과를 달성하세요.

DATA INTELLIGENCE

2025년 8월 15일

편안함의 습격에 맞서는 전략적 불편함: 고객 세분화 전략

‘편안함 증후군’에 빠진 마케팅 전략의 구조적 한계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불편함에 대해 그로스 마케팅 관점의 고객 세분화 전략을 정의합니다.

GROWTH MARKETING

2025년 8월 11일

편안함의 습격에 맞서는 전략적 불편함: 고객 세분화 전략

‘편안함 증후군’에 빠진 마케팅 전략의 구조적 한계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불편함에 대해 그로스 마케팅 관점의 고객 세분화 전략을 정의합니다.

GROWTH MARKETING

2025년 8월 11일

B2C 온라인커머스 업셀링·크로스셀링 마케팅 전략

신규 고객 확보 비용이 기존 고객 유지 비용의 5배에서 25배에 달하는 상황에서, 업셀링과 크로스셀링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GROWTH MARKETING

2025년 8월 8일

B2C 온라인커머스 업셀링·크로스셀링 마케팅 전략

신규 고객 확보 비용이 기존 고객 유지 비용의 5배에서 25배에 달하는 상황에서, 업셀링과 크로스셀링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GROWTH MARKETING

2025년 8월 8일

GROWTH MARKETING

GROWTH MARKETING

평균의 허상에서 벗어나, 주도적 성장 돕는 ‘마케터 커리어 프레임워크’

평균주의 사회에서 탈피하는 마케터 커리어 설계법에 대해 토드 로즈의 다크호스 전략으로 기반으로 진정한 마케팅 전문성을 갖추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위그로스

2025년 8월 18일

위그로스

2025년 8월 18일

한국 사회의 주입식 교육과 비교의식의 딜레마

한국의 교육환경 및 직장 문화을 살펴보면 점수·등수 등 '평균'이라는 허상에 사로잡힌 채, 모든 사람을 동일한 기준으로 줄 세우는 평균주의가 만연합니다. 이는 토드 로즈가 지적했듯이 "평균적인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진실을 외면한 채 끊임없이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살아갑니다.

이러한 문제는 교육 시스템에서부터 시작됩니다. 한국의 주입식 교육은 학생의 흥미, 의욕, 능력, 이해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선정한 소정의 교육내용을 학생에게 주입시키는 방식입니다. 그 결과 자기 의견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창의적 사고와 토론보다는 정답 암기와 획일적 성과가 우선시됩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평균주의에 입각한 비교의식이 한국인의 행복을 갉아먹는다는 점입니다.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지수는 OECD 38개국 중 35위에 불과합니다. 행복 연구의 권위자 에드 디너(Ed Diener)는 한국인이 높은 소득에 비해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원인으로 ‘돈을 지나치게 중요시하는 마음과 다른 사람과의 비교의식’ 두 가지를 꼽았습니다.


출처: 주입식 교육의 문제점 - 스스로 생각하지 못하는 바보를 만든다

이러한 환경에서 성장한 마케터들은 어떨까요? ‘정답’이라는 틀에 갇혀 성과 자체로만 귀결되는 사고방식을 가진 채 마케팅 현장에 뛰어듭니다. 시장 트렌드 및 시대에 따라 변모하는 비정형화된 마케팅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채 남들이 하는 마케팅, 평균적인 성과에 안주하게 됩니다. 하지만 진정한 마케팅 전문성은 결코 표준화된 공식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위그로스가 마케팅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2025년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마케팅 실무자 61.8%가 자신의 역량을 ‘평균 수준’으로 평가했고, 47.1%가 ‘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을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 꼽았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마케터들은 “내 실력은 과연 평균인가?”라는 고민에 묶인 채 어떻게 스스로를 차별화할지 막막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 같은 평균주의의 한계를 넘어서는 해결책은 토드 로즈의 '다크호스 전략’에 있습니다. 다크호스는 평균적으로 획일화 된 성공 공식을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여 성공한 사람들을 일컫습니다. 이들의 핵심 전략은 단순합니다. 충족감(Fulfillment)을 우선시하면, 결과는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평균이라는 허상에서 벗어나라: 평균주의 교육의 한계와 다크호스의 등장 배경

출처: The End of Average: Todd Rose's '8 for 8'

미국 하버드 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이며 교육신경과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인 토드 로즈(Todd Rose)는 《평균의 종말 : 동일성을 중시하는 세상에서 성공하는 방법》(The End of Average: How We Succeed in a World That Values Sameness)을 통해 이제껏 교육을 속여온 ‘평균’이라는 허상을 깨부수는 평균의 종말의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중학교 때 ADHD 장애 판정을 받은 뒤 성적 미달로 고등학교를 중퇴하며 평생 골칫덩이 취급받았습니다. 하지만 학교에서는 인정받지 못했던 자신만의 ‘고유한 재능’을 발견해 지역대학에 입학하고 야간 수업을 들으며 주경야독한 끝에 하버드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인간발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19세기 통계학자 아돌프 케틀레(Adolphe Quetelet)가 만들어낸 '평균적 인간(l'homme moyen)'이라는 개념이 현재까지 교육과 사회 시스템을 지배하고 있지만, 실제로 평균에 맞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어떤 개개인과 관련된 결정을 내려 하는 순간이라면 평균은 쓸모가 없다. 평균적인 신체 치수 따위는 없듯 평균적인 지능, 평균적인 성격 같은 것도 없다. 평균적 학생이나 평균적 직원도 없고 그 점에서라면 평균적 두뇌 역시 없다.

평균의 시대를 특징짓는 2가지 가정은 무엇인가? 평균이 이상적인 것이며 개개인은 오류라는 케틀레의 신념과 한 가지 일에 탁월한 사람은 대다수의 일에서 탁월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골턴의 신념이다. 그러면 개개인의 과학이 내세우는 주된 가정은 뭘까? 개개인성이 중요하다는 신념이다. 즉 개개인은 오류가 아니며 개개인을 (재능, 지능, 인성, 성격 같은) 가장 중시되는 인간 자질에 따라 단 하나의 점수로 전락시켜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평균주의로 인한 마케터 커리어패스 설계의 어려움

출처: In Defense of Being Average. Mark Manson

《평균의 종말(The End of Average)》에서 토드 로즈(Todd Rose)는 평균이라는 잣대로 개인의 역량과 성공 경로를 판단하는 사회적 관행에 근본적 의문을 던집니다.

개발자 직군의 경우 백엔드, 프론트엔드 등 경계가 분명하고 커리어패스 설계 역시 비교적 체계적입니다. 예를들어 폴란드의 데이터 컨설팅 기업 앱실론(Appsilon)은 개발자 커리어 프레임워크 “Appsilon Career Paths document”에 대해 발표하며, IT 개발자의 표준화된 역할 분류와 경력 개발 로드맵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케팅 직군은 그렇지 않습니다. 브랜딩, 콘텐츠, 퍼포먼스, 그로스, CRM 등 분야가 다양하고 회사별 직무정의 역시 제각각입니다.

한국의 마케터들에게 이러한 평균주의의 한계는 창의적 사고 능력을 근본적으로 제약합니다. ‘정답이라는 틀에 갇혀 그저 답만 찾고 있는 주입식 교육’을 받은 세대들은 마케팅 현장에서도 동일한 사고 패턴을 보입니다. ‘정답을 찾는 교육’에 익숙한 세대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경험하게 됩니다.

  • 창의적 학습방식의 부재: 심층 소비자 분석, 트렌드 예측 등 마케터에게 필수적인 창의적 접근을 억제합니다.

  • 수직적 사고구조: 실제 현장 데이터보다 조직 내 지위와 의중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향으로 전략적 의사결정이 약화됩니다.

  • 이분법적 사고: 다양한 변수와 실험이 중요한 마케팅 현장에서 ‘정답/오답’식의 이분법적 시각은 실행의 폭을 좁힙니다.

2025년 위그로스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마케터의 80%가 이직 계획을 고려하고 있고, 33.6%는 업무 환경에 답답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특히 “내가 지금 마케팅 직무를 잘하고 있는가?”라는 불확실성이 지속되어 커리어 방향성 설계에 어려움을 겪는 실정입니다.

개발자처럼 명확한 경로와 정의가 부여되지 않는 마케터의 세계에서, 결국 중요한 것은 평균을 벗어나 각자의 개성과 강점을 포트폴리오로 구체화하는 능력입니다. 마케터 개개인의 차별화된 성장 전략과 데이터 기반의 분석 능력이 더더욱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다크호스 4단계 방법론에 기반한 2025년 마케터 커리어패스

토드 로즈는 평균주의에서 벗어나 성공을 이룬 다크호스들의 공통점을 연구하며 4단계 성공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개발자들이 백엔드-프론트엔드-풀스택 등 명확한 경로를 가진 것처럼, 마케터 역시 체계적인 성장을 위한 ‘마케터 커리어 프레임워크’가 필요합니다. 위의 토드 로즈의 다크호스 4단계 성공 방법론을 그로스 마케터의 2025년 마케터 커리어패스 버전으로 적용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개발자들이 백엔드→풀스택→아키텍트로 성장하듯, 마케터가 퍼포먼스→그로스→마케팅 올라운더로 성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평균적인 마케터에서 벗어나 데이터와 기술을 무기로 한 차세대 그로스 마케팅 전문가로 발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출처: Marketing Roadmap | Editable Marketing Templates

1단계: Micro-motives(미시적 동기 발견) - 마케터 정체성 확립 (0~6개월)

마케팅 적성 진단 매트릭스: 데이터 VS 크리에이티브 성향 파악

  • 숫자와 그래프 해석에서 흥미를 느끼는가? → 데이터 드리븐 마케터

  • 스토리텔링과 비주얼 콘텐츠 기획에 몰입하는가? → 브랜드/콘텐츠 마케터

  • 비즈니스 전체 관점으로 고객 행동 패턴 분석과 최적화에 관심이 높은가? → 그로스 마케터

  • Paid Media 중심의 성과 개선에 흥미가 있는가? → 퍼포먼스 마케터

기초 툴스택(Tool-Stack) 습득: 데이터 분석 도구

  • Google Analytics 4, Mixpanel: 웹사이트 트래픽 분석

  • Google Ads & Facebook Ads Manager: Paid 광고 캠페인 운영 실습

  • Hotjar/FullStory: 사용자 행동 분석 히트맵 툴

  • Tabluea/Looker Studio: 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

기초 툴스택(Tool-Stack) 습득: 업무 자동화 도구

  • Zapier/Make/N8N: 업무 자동화 툴

  • Notion/Airtable: 마케팅 프로젝트 관리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초 툴스택(Tool-Stack) 습득: AI 보조 도구 활용

  • ChatGPT/Claude: 콘텐츠 기획 및 카피라이팅 보조

  • Midjourney/DALL-E: 크리에이티브 소재 생성

  • Perplexity: 시장 조사 및 트렌드 분석

출처: Agile Software Development Requires Core Skills and Continuous Learning

2단계: Choices(전문영역 선택) - 마케터 전문성 구축 (6개월~2년)

Core Skill Development: 퍼포먼스 마케팅 기반

  • Google Ads, Facebook Ads, 네이버 광고 고급 설정

  • UTM 파라미터 설계 및 어트리뷰션 모델링

  • CPA/ROAS 최적화 전략 수립

Core Skill Development: 데이터 분석 심화

  • Ga4/GTM: Html/Css/JavaScript 활용하여 이벤트 기반 사용자 행동 트래킹

  • BigQuery: 고객 데이터베이스 쿼리 작성

  • Python/R: 마케팅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Tableau/Power BI/Looker Studio: 마케팅 대시보드 구축

  • Retention Cohort Analysis: 사용자 리텐션 분석

Core Skill Development: 마케팅 자동화/CRM

  • HubSpot/Salesforce: CRM 및 리드 너처링 자동화

  • Mailchimp/SendGrid/Kit: 이메일 마케팅 자동화 캠페인 운영

  • Zapier/Make/N8N: 업무 자동화 심화 활용

  • Braze/Airship: Push 메시지 및 인앱 메시지 운영

출처: Stratexecution – Strategy and Execution Office

3단계: Strategies(전략적 실행) - 시장 검증 및 영향력 확산 (2~5년)

그로스 마케팅 실무역량: Predictive Analytics and Modeling

  • Customer Lifetime Value (LTV) 예측 모델 구축

  • Churn Prediction: 이탈 고객 예측 알고리즘

  • Marketing Mix Modeling (MMM): 채널별 기여도 분석

  • Attribution Modeling: 멀티터치 어트리뷰션 설계

그로스 마케팅 실무역량: Marketing Skill Stack Architecture

  • CDP (Customer Data Platform) 설계: Segment, mParticle

  • CRM Marketing Automation: Marketo, Pardot 고급 워크플로우

  • A/B Testing Platform: VWO, Framer AB Test 등 실험 설계

  • Business Intelligence: Looker-BigQuery 고급 대시보드 구현

리더십 및 전략 기획: Cross-functional Collaboration

  • 프로덕트 팀과의 데이터 기반 기능 우선순위 설정

  • 세일즈 팀과의 MQL→SQL 전환 최적화

  • 데이터 사이언스 팀과의 예측 모델링 프로젝트 주도

  • 팀별 협업을 통한 마케팅 성과 측정 프레임워크 구축

출처: Develop an Integrated Career Pathing Framework | McLean & Company

4단계: Destination(목적지 무시하고 목표 집중) - 자기주도적 전문가 (5년~)

비즈니스 임팩트 창출

  • 매출 직결 KPI 책임: ARR, MRR, Customer Acquisition Cost 최적화

  • 제품-시장 핏(PMF) 검증을 위한 마케팅 실험 설계

  • 비즈니스 스케일업 기반 단계별 Growth Roadmap 구축

AI 기반 마케팅 프레임워크 개발

  • AI/ML 기반 개인화 마케팅 시스템 구축

  • 크로스플랫폼 통합 어트리뷰션 모델 고도화

  • AI 활용 업무 자동화 프레임워크 구축

커리어 확장성 구축: Tech-Marketing-Data 하이브리드 전문성

  • 마케팅 데이터 엔지니어링 역량 (ETL, 데이터 파이프라인)

  • 마케팅 애널리틱스 아키텍트 (데이터 웨어하우스 설계)

  • 그로스 프로덕트 매니저 (데이터 기반 제품 개발 의사결정)

커리어 확장성 구축: 업계 생태계 기여

  • 마케팅 기술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

  • 위그로스 등 커뮤니티 리더십을 통한 마케팅 노하우 공유

  • 마케팅 테크 스타트업 자문 및 투자 검토


마케터 커리어패스 실전 적용: 월별 실행 체크리스트

출처: Marketing Career Path Guide [Roles, Progression, Skills, Salaries & More!]. Cultivated Culture

토드 로즈는 평균주의에서 벗어나 성공을 이룬 다크호스들의 공통점을 연구하며 4단계 성공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1단계(0~6개월): 마케팅 기초 체력 단련

  • 주 2회: 데이터 리터러시 구축 (위그로스 Education 커리큘럼 기반)

  • 월 1회: 위그로스 마케팅 세미나/네트워킹 모임

  • 월 2회: 다양한 업계 마케터와 1:1 커피챗 (위그로스 네트워크 활용)

2단계(6개월~2년): 마케팅 전문성 집중 개발

  • 격주 1회: 실험 중심 그로스 실행 (위그로스 Growth Framework 적용)

  • 월 1회: 고급 마케팅 분석 프로젝트

3단계(2년~): 리더십 및 영향력 확산

  • 분기 1회: 다양한 AI/마케팅 툴 활용한 마케팅 방법론 실험 및 검증

  • 반기 1회: 주니어 대상 마케팅 커뮤니티 및 세미나 구축 후 교육 컨설팅 진행

  • 월 1회: 스타트업/사업자 네트워킹 정기모임


결론: 평균에서 탁월함으로, 모방에서 창조로

출처: Building Marketing Leaders of the Future | by General Assembly | The Index @ General Assembly | Medium

토드 로즈의 다크호스 철학은 “평균적 성공의 공식”이라는 하나의 틀을 넘어, 각 개인이 주체적으로 자신만의 성장 경로를 설계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앤드루 첸(Andrew Chen)은 “오늘날 커리어의 경쟁력은 표준화된 경로에 있지 않으며, 모든 사람이 똑같은 계단을 오를 때 기회는 오히려 줄어든다”고 강조합니다. 실리콘밸리의 많은 창업가와 경영자들 역시 “획일적 성과 관리와 평균적 인재에 대한 시대는 끝났다. 각자의 강점과 차별성, 그리고 빠른 실험과 실행력이 진짜 경쟁력이 되는 시대”라고 입을 모읍니다.

AI의 발전은 단순 반복 업무와 평균적 사고를 가진 마케터의 자리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누가 더 데이터를 잘 다루는지, 누가 더 효과적으로 자동화 도구와 AI를 연결하는지, 그리고 누가 더 차별화되고 확장된 관점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지가 마케팅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과거처럼 평균적 경력, 유사한 포트폴리오, 정형화된 연차별 커리어패스 만으로는 절대로 차별화를 이룰 수 없습니다.


출처: 위그로스x슬라이스 마케팅 네트워킹모임

위그로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실전 중심의 교육, 다양한 산업의 실무자들과의 네트워킹, 그리고 기업이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그로스 컨설팅을 통해 ‘AI 시대에도 실제 비즈니스와 성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마케팅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번 8월 19일에 진행되는 마케팅 네트워킹 모임을 비롯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실무 현장에서 실질적인 문제 해결 경험과 새로운 시각을 함께 쌓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제는 마케터들이 자신의 강점·호기심·경험을 연결하여 ‘나만의 실질적인 차별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평균이라는 기준은 더는 안전망이 아니라, 변화의 속도와 불확실성이 커진 환경에서 오히려 경계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누구나 평균이 될 수 있지만 진짜 성장은 각자의 고유한 방향성에서 나옵니다. 지금 당신만의 다크호스 스토리를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 평균주의를 뛰어넘는 여정에 위그로스가 든든한 동반자로 함께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