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INTELLIGENCE
DATA INTELLIGENCE
카페24 API 자동화 대시보드 구축하기
광고 성과부터 매출까지 실시간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카페24 API와 Google Sheets로 실무 자동화하는 법, 지금 확인해보세요.

위그로스
2025년 4월 11일

위그로스
2025년 4월 11일



출처: 팬데믹 이후 이커머스 시장, D2C의 성장 가도는? - 온마이뎁
한국 이커머스 시장은 중국, 미국, 영국, 일본에 이어 세계 5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국 온라인쇼핑거래액은 2023년 역대 최고치인 228조8516억원을 기록하며 지속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한국 이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6년 3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기존에는 온라인 소비가 주로 11번가·G마켓·SSG닷컴 등 이커머스 종합몰·오픈마켓에서 이뤄졌다면, 이제는 무신사·오늘의집·컬리·에이블리 등 전문몰과 브랜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자사몰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티메프 사태의 여파로 이러한 변화가 급속도로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업계를 가리지 않고 불어오는 자사몰 열풍, 그 이유는?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26668
[글로벌 이커머스 완전정복] 해외 진출, 마켓플레이스 입점? 자사몰 구축? 새로운 유통 트렌드 파악하기
https://blog.portone.io/all-about-crossborder-4/
“판 뒤집혔다” 이커머스 신흥 강자 ‘올다무토’ : 네이트 뉴스
https://news.nate.com/view/20250408n02607?mid=n1101
이러한 자사몰 열풍은 식품, 가전, 가구 등 업종을 불문하고 다방면으로 확산되고 있는데요. 이제 자사몰을 운영하는 기업에게 데이터 분석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사용자가 어떻게 자사몰에 유입했는지, 회원가입한 고객의 데이터 그리고 매출 및 트래픽 데이터 등을 수집 및 분석해야하며, 이러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으로 매출 증대 및 고객 경험을 향상시켜 충성고객 유치까지 이어지는 효과적인 자사몰 운영이 가능합니다.

출처: 카페24 스토리
자사몰의 경우 독립몰 형태로 자체개발을 하거나, 카페24/아임웹/고도몰/메이크샵/플렉스지 등의 쇼핑몰 솔루션에 입점하여 웹사이트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국내 전자상거래 플랫폼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카페24는 저희 위그로스 클라이언트사 분들도 많이 쓰시는 임대형 쇼핑몰 솔루션입니다.
카페24의 장점은 초기 이용료나 가입비가 없고, 다양한 솔루션들과 쉽게 연동할 수 있는 호환성과 자유도 높은 Html/Css/Javascript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카페24 관리자센터를 통해 매출 데이터 및 매출 분석, 고객 분석, 상품 분석, 실시간 사용자 활동현황까지 다양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합니다.

카페24 관리자센터에서는 자체적으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통계 순매출 : 결제합계(실결제금액+적립금+예치금+네이버포인트) - 환불합계 (실환불금액+적립금+예치금)
접속통계 > 매출분석 > 매출종합분석의 매출액
[접속통계 매출액]
- 결제완료(입금완료일 기준)한 최종결제금액의 합
- 매출액 포함 대상 : 실제결제금액, 적립금, 예치금, 배송비
- 매출액 제외 대상 : 환불, 교환, 취소 할인/쿠폰할인
또한 카페24 애널리틱스
를 제공합니다.
그래서 매번 수작업으로 보고서를 만들고 있어요."라고 답하십니다. 카페24에서는 매출과 방문자 수 등을 확인하고, 광고 매체에서는 클릭 수나 전환율을 따로 보고 계십니다. 두 데이터를 하나로 연결해 ‘어떤 광고가 실제 매출로 이어졌는지’까지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워하십니다. 두 데이터를 연결해주는 브릿지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카페24 애널리틱스의 마케팅에 채널과 채널 및 그룹은 무엇인가요?
쇼핑몰에서 집행한 광고 성과에 대해 분석하여 광고 '채널', '채널 및 그룹별'로 제공해요.
통계 > 카페24 애널리틱스 > 리포트 > 마케팅 > 채널 : 광고 매체사를 식별하는 용도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등 매체사)
통계 > 카페24 애널리틱스 > 리포트 > 마케팅 > 채널 및 그룹 : 광고 단위로 분리해서 보고 싶은 경우
(네이버 쇼핑, 네이버 브랜드 검색어 등 광고단위)
Info
카페24 애널리틱스'에서는 광고 추적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구글 UTM 파라미터' 분석을 지원해요
랜딩 URL에 파라미터들을 포함해주시기만 해도 분석이 가능해요
[예시]
랜딩 URL 이 http://www.sample.co.kr 인 경우, URL 뒤에 ?를 붙이고 각 파라미터는 &로 연결해요 http://www.sample.co.kr?utm_source=google&utm_medium=display&utm_campaign=spring_sale
랜딩 URL 이 http://www.sample.co.kr/product/detail.html?product _no=1234 와 같이 중간에 이미 ?가
존재한다면 그냥 &로 연결해요
주기적인 데이터 수집 방식을 요약해보면,
카페24 관리자 화면에 접속해 상품별 매출을 확인하고
구글 광고·메타 광고·네이버 등 각 매체 관리자에 접속해 캠페인별 클릭률과 전환률을 따로 비교하며
각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엑셀에 옮겨 보고서를 정리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 구조에서는 누락이나 실수가 생기기 쉽고, 데이터를 일일이 확인하고 비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업무 생산성도 떨어지게 됩니다. 더 큰 문제는, 이렇게 복잡한 구조 때문에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워지고, 결국 중요한 인사이트를 놓치게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페24 API를 활용해 구글 시트에 원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불필요한 반복을 줄이면서도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데이터 분석 환경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Google Sheets 내에 핵심 지표를 원하는 형태로 정리하여 가져오고, 이를 기반으로 광고 매체 성과와 직접 연결해 분석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합니다. 광고 매체 분석과 통합 보고의 연결 고리를 찾고 있는 기업이라면 실무에 즉시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페24 API 구조 한눈에 보기
카페24는 전체 쇼핑몰 운영 기능을 API로 제공합니다. 상품, 주문, 고객, 배송, 리뷰, 혜택, 커뮤니티 등 거의 모든 데이터가 API 형태로 제공되며, 이를 활용해 실시간 데이터 수집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카페24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API 리소스 다이어그램입니다. 연두색으로 표시된 리소스는 실제 API 호출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항목들이며, 쇼핑몰 운영 데이터 전반을 자동화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출처: 카페24 API 리소스 다이어그램. 카페24
카페24 API 데이터 조회 - GET 메서드 중심 정리
카페24의 API는 기본적으로 RESTful 방식을 따르며, 각 리소스에 대해 생성(Create), 조회(Read), 수정(Update), 삭제(Delete)를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지원합니다.
이 중 집중해서 다룰 방식은 GET 메서드입니다. GET 메서드는 카페24 내 특정 리소스의 데이터를 조회하고 불러오는 데 사용하는 요청 방식으로, 상품 목록, 주문 내역, 회원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dev.to/williamragstad/how-to-use-ajax-3b5e
상품 데이터나 주문 내역을 자동으로 수집하기 위한 API 호출이 대부분 GET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반면, POST(생성), PUT(수정), DELETE(삭제) 메서드는 주로 상품 정보를 새로 등록하거나 수정하고, 특정 데이터를 제거하는 등 시스템 연동이나 운영 자동화 수준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데이터를 불러와 Google Sheets로 정리하고 분석하는 흐름에 초점을 맞추는 만큼, GET 메서드를 중심으로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페24 API에서 GET 방식으로 데이터를 호출하고, Google Sheets에 자동으로 정리하는 실무 활용 흐름을 중심으로 소개드리겠습니다.
카페24 API 인증 구조
“쇼핑몰 데이터를 자동화하려면 인증 구조부터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페24 API를 통해 상품, 주문, 회원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려면 가장 먼저 거쳐야 할 단계가 OAuth2 기반의 인증 프로세스입니다. 이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됩니다.
인증 코드(code) 발급
액세스 토큰(access_token) 발급
리프레시 토큰(refresh_token)을 통한 토큰 갱신
카페24는 이 과정을 표준 OAuth 2.0 인증 흐름에 따라 제공합니다. 이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면, 안정적으로 API를 연동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
1. 인증 코드 발급 (Authorization Code)
API 호출을 시작하기 전, 클라이언트는 인증 코드를 먼저 발급받아야 합니다. 이 인증 코드는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요청해야 하며, 발급 후 1분 이내에만 유효합니다.
요청 URL 구조:

mallid
: 해당 쇼핑몰의 IDclient_id
: 앱 등록 시 발급된 고유 IDstate
: 위변조 방지를 위한 문자열 (요청과 응답 시 동일해야 함)redirect_uri
: 인증 후 리디렉션될 URIscope
: 요청하려는 권한 (예:mall.read_product
,mall.read_order
등)
응답 예시:

2. Access Token 발급
발급받은 인증 코드를 이용해 API 호출에 사용할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요청합니다. 이 과정은 서버 간 통신에서 이루어집니다.
요청 예시:

응답 예시:

access_token
은 약 2시간 동안 유효합니다.refresh_token
은 약 2주 동안 유효하며, access_token 갱신 시 사용됩니다.
3. Refresh Token을 통한 Access Token 재발급
Access Token의 유효 시간이 지나면, 새로 로그인하지 않아도 refresh_token
을 이용해 다시 토큰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요청 예시:

응답 예시:

카페24 API로 원하는 데이터만 정확하게 가져오기
카페24 API는 단순히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능을 넘어서, 조건별 필터링, 범위 지정, 페이징 처리, 하위 리소스 포함 등 실무에서 필요한 다양한 조회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GET 방식의 API 호출 시 활용할 수 있는 주요 파라미터를 정리해 드립니다. Google Sheets와 연동하여 필요한 정보만 정리해 보는 데 매우 유용한 기초가 될 수 있습니다.
1. 조건 검색 파라미터 활용
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조건을 붙여 요청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브랜드 코드가 B000000A
인 상품 중에서 판매가가 1,000원 이상인 상품만 가져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호출할 수 있습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brand_code=B000000A&price_min=1000
날짜 범위를 활용한 조회도 가능합니다.
등록일 기준: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created_start_date=2018-01-03&created_end_date=2018-02-03
수정일 기준: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updated_start_date=2018-01-03T14:01:26+09:00&updated_end_date=2018-02-03T14:01:26+09
2. 콤마(,)로 다중 조건 지정
콤마(,)를 활용해 여러 값을 동시에 조회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번호 11, 12, 13번의 상품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구성합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product_no=11
또는 상품번호와 상품코드를 함께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product_no=11,12,13&product_code
“단, 콤마로 조회 가능한 값은 최대 100개까지만 가능합니다.”
3. 멀티쇼핑몰(shop_no) 지정
카페24는 여러 개의 쇼핑몰을 운영할 수 있는 멀티몰 구조를 지원합니다. 특정 몰(shop_no)의 데이터만 가져오고 싶을 때는 shop_no
를 파라미터로 추가하면 됩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shop_no=2
4. 상세 조회 vs 단건 조회
특정 리소스 하나만 조회하고 싶을 땐 상세 조회 또는 단건 조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세 조회 (리소스 경로에 ID 직접 삽입):
단건 조회 (리스트 API에서 조건 파라미터로 지정):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admin/products?product_no=128
5. Pagination (페이징 처리)
데이터가 많을 경우 한 번에 다 가져올 수 없기 때문에, limit
과 offset
파라미터를 함께 사용합니다.
처음 100개 가져오기: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admin/products?limit=100
201번째부터 300번째까지 가져오기: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admin/products?limit=100&offset=200
6. 필요한 항목만 조회 (fields)
조회 결과에서 모든 항목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fields
파라미터를 사용해 필요한 필드만 요청할 수 있습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admin/products?fields
7. 하위 리소스(embed) 함께 조회
한 API 요청에 여러 관련 정보를 한꺼번에 받고 싶을 때는 embed
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와 함께 품목 및 재고도 함께 불러올 수 있습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admin/products/570?embed
Google Sheets로 카페24 API 연동
아래 이미지는 실제 카페24 API를 통해 가져온 데이터를 구글 시트에 정리한 샘플입니다.

출처: 위그로스 제공 (직접 생성된 카페24 API 샘플 데이터)
이처럼 카페24 API를 활용하면, 상품 정보뿐 아니라 주문일자, 결제수단, 방문자수, 페이지뷰 같은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자동 수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데이터를 구글 시트로 가져오면, 광고 매체에서 가져온 유입 데이터와도 쉽게 연결해 캠페인별 성과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카페24 주문 데이터 + 네이버 클릭수 비교
특정 제품 매출 + 페이스북 광고 캠페인 비용 분석
브랜드별 구매율 + 방문수 대비 전환률
이렇게 카페24 API와 광고 매체 API를 활용해 데이터 수집을 자동화하여 한 곳에 모으면, 어떤 캠페인이 실질적인 매출로 이어졌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글에서는 카페24 API를 활용해 Google Sheets에 운영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카페24는 상품, 주문, 고객, 리뷰 등 쇼핑몰 운영의 거의 모든 영역을 API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반복적인 수작업을 줄이고,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운영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카페24의 결과데이터(실제 매출, 방문자 수 등)와 광고 매체별 유입데이터(메타,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를 유기적으로 연결해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기업 내 모든 실무자와 의사결정권자가 쉽게 접근 가능한 Google Sheets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며,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 의사결정
이 가능합니다.
카페24 운영 데이터와 광고 매체 데이터를 따로 관리하고 계시거나, 일일히 캠페인별 성과를 정리하여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신다면, 저희 위그로스가 함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업무의 병목현상을 해결하는 첫 걸음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 위그로스가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구글애즈 API 자동화 데이터 대시보드 구축하기 (2)
이번 2편에서는 연동한 인증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데이터를 어떻게 자동으로 호출-시각화-인사이트 도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
DATA INTELLIGENCE
2025년 4월 3일

구글애즈 API 자동화 데이터 대시보드 구축하기 (2)
이번 2편에서는 연동한 인증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데이터를 어떻게 자동으로 호출-시각화-인사이트 도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
DATA INTELLIGENCE
2025년 4월 3일

구글애즈 API 자동화 데이터 대시보드 구축하기 (1)
Google Ads API로 광고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 실무 자동화와 인사이트 발굴 전략에 주목해보세요.
DATA INTELLIGENCE
2025년 4월 2일

구글애즈 API 자동화 데이터 대시보드 구축하기 (1)
Google Ads API로 광고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 실무 자동화와 인사이트 발굴 전략에 주목해보세요.
DATA INTELLIGENCE
2025년 4월 2일

[세미나 후기] 업무 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 마케팅 자동화 대시보드
수작업 리포트, 자동화로 바꿀 수 있을까요? 위그로스의 광고 대시보드 세미나에서 해법을 확인해보세요. 많은 기업에서 광고 성과 데이터를 보고하는 일은…
TEAM STORY
2025년 4월 1일

[세미나 후기] 업무 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 마케팅 자동화 대시보드
수작업 리포트, 자동화로 바꿀 수 있을까요? 위그로스의 광고 대시보드 세미나에서 해법을 확인해보세요. 많은 기업에서 광고 성과 데이터를 보고하는 일은…
TEAM STORY
2025년 4월 1일

구글애즈 API 자동화 데이터 대시보드 구축하기 (2)
이번 2편에서는 연동한 인증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데이터를 어떻게 자동으로 호출-시각화-인사이트 도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
DATA INTELLIGENCE
2025년 4월 3일

구글애즈 API 자동화 데이터 대시보드 구축하기 (1)
Google Ads API로 광고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 실무 자동화와 인사이트 발굴 전략에 주목해보세요.
DATA INTELLIGENCE
2025년 4월 2일

[세미나 후기] 업무 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 마케팅 자동화 대시보드
수작업 리포트, 자동화로 바꿀 수 있을까요? 위그로스의 광고 대시보드 세미나에서 해법을 확인해보세요. 많은 기업에서 광고 성과 데이터를 보고하는 일은…
TEAM STORY
2025년 4월 1일

메타 광고 API로 자동화 데이터 대시보드 구축하기
메타 광고 성과, 매번 수동으로 확인하고 계신가요? 자동화된 데이터 대시보드 구축으로 효율적인 광고 운영 체계를 확인해보세요.
DATA INTELLIGENCE
2025년 3월 10일
DATA INTELLIGENCE
DATA INTELLIGENCE
카페24 API 자동화 대시보드 구축하기
광고 성과부터 매출까지 실시간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카페24 API와 Google Sheets로 실무 자동화하는 법, 지금 확인해보세요.

위그로스
2025년 4월 11일

위그로스
2025년 4월 11일



출처: 팬데믹 이후 이커머스 시장, D2C의 성장 가도는? - 온마이뎁
한국 이커머스 시장은 중국, 미국, 영국, 일본에 이어 세계 5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국 온라인쇼핑거래액은 2023년 역대 최고치인 228조8516억원을 기록하며 지속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한국 이커머스 시장 규모가 2026년 3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기존에는 온라인 소비가 주로 11번가·G마켓·SSG닷컴 등 이커머스 종합몰·오픈마켓에서 이뤄졌다면, 이제는 무신사·오늘의집·컬리·에이블리 등 전문몰과 브랜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자사몰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티메프 사태의 여파로 이러한 변화가 급속도로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업계를 가리지 않고 불어오는 자사몰 열풍, 그 이유는?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26668
[글로벌 이커머스 완전정복] 해외 진출, 마켓플레이스 입점? 자사몰 구축? 새로운 유통 트렌드 파악하기
https://blog.portone.io/all-about-crossborder-4/
“판 뒤집혔다” 이커머스 신흥 강자 ‘올다무토’ : 네이트 뉴스
https://news.nate.com/view/20250408n02607?mid=n1101
이러한 자사몰 열풍은 식품, 가전, 가구 등 업종을 불문하고 다방면으로 확산되고 있는데요. 이제 자사몰을 운영하는 기업에게 데이터 분석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사용자가 어떻게 자사몰에 유입했는지, 회원가입한 고객의 데이터 그리고 매출 및 트래픽 데이터 등을 수집 및 분석해야하며, 이러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으로 매출 증대 및 고객 경험을 향상시켜 충성고객 유치까지 이어지는 효과적인 자사몰 운영이 가능합니다.

출처: 카페24 스토리
자사몰의 경우 독립몰 형태로 자체개발을 하거나, 카페24/아임웹/고도몰/메이크샵/플렉스지 등의 쇼핑몰 솔루션에 입점하여 웹사이트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국내 전자상거래 플랫폼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카페24는 저희 위그로스 클라이언트사 분들도 많이 쓰시는 임대형 쇼핑몰 솔루션입니다.
카페24의 장점은 초기 이용료나 가입비가 없고, 다양한 솔루션들과 쉽게 연동할 수 있는 호환성과 자유도 높은 Html/Css/Javascript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카페24 관리자센터를 통해 매출 데이터 및 매출 분석, 고객 분석, 상품 분석, 실시간 사용자 활동현황까지 다양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합니다.

카페24 관리자센터에서는 자체적으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통계 순매출 : 결제합계(실결제금액+적립금+예치금+네이버포인트) - 환불합계 (실환불금액+적립금+예치금)
접속통계 > 매출분석 > 매출종합분석의 매출액
[접속통계 매출액]
- 결제완료(입금완료일 기준)한 최종결제금액의 합
- 매출액 포함 대상 : 실제결제금액, 적립금, 예치금, 배송비
- 매출액 제외 대상 : 환불, 교환, 취소 할인/쿠폰할인
또한 카페24 애널리틱스
를 제공합니다.
그래서 매번 수작업으로 보고서를 만들고 있어요."라고 답하십니다. 카페24에서는 매출과 방문자 수 등을 확인하고, 광고 매체에서는 클릭 수나 전환율을 따로 보고 계십니다. 두 데이터를 하나로 연결해 ‘어떤 광고가 실제 매출로 이어졌는지’까지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워하십니다. 두 데이터를 연결해주는 브릿지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카페24 애널리틱스의 마케팅에 채널과 채널 및 그룹은 무엇인가요?
쇼핑몰에서 집행한 광고 성과에 대해 분석하여 광고 '채널', '채널 및 그룹별'로 제공해요.
통계 > 카페24 애널리틱스 > 리포트 > 마케팅 > 채널 : 광고 매체사를 식별하는 용도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등 매체사)
통계 > 카페24 애널리틱스 > 리포트 > 마케팅 > 채널 및 그룹 : 광고 단위로 분리해서 보고 싶은 경우
(네이버 쇼핑, 네이버 브랜드 검색어 등 광고단위)
Info
카페24 애널리틱스'에서는 광고 추적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구글 UTM 파라미터' 분석을 지원해요
랜딩 URL에 파라미터들을 포함해주시기만 해도 분석이 가능해요
[예시]
랜딩 URL 이 http://www.sample.co.kr 인 경우, URL 뒤에 ?를 붙이고 각 파라미터는 &로 연결해요 http://www.sample.co.kr?utm_source=google&utm_medium=display&utm_campaign=spring_sale
랜딩 URL 이 http://www.sample.co.kr/product/detail.html?product _no=1234 와 같이 중간에 이미 ?가
존재한다면 그냥 &로 연결해요
주기적인 데이터 수집 방식을 요약해보면,
카페24 관리자 화면에 접속해 상품별 매출을 확인하고
구글 광고·메타 광고·네이버 등 각 매체 관리자에 접속해 캠페인별 클릭률과 전환률을 따로 비교하며
각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엑셀에 옮겨 보고서를 정리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 구조에서는 누락이나 실수가 생기기 쉽고, 데이터를 일일이 확인하고 비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업무 생산성도 떨어지게 됩니다. 더 큰 문제는, 이렇게 복잡한 구조 때문에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워지고, 결국 중요한 인사이트를 놓치게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페24 API를 활용해 구글 시트에 원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불필요한 반복을 줄이면서도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데이터 분석 환경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Google Sheets 내에 핵심 지표를 원하는 형태로 정리하여 가져오고, 이를 기반으로 광고 매체 성과와 직접 연결해 분석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합니다. 광고 매체 분석과 통합 보고의 연결 고리를 찾고 있는 기업이라면 실무에 즉시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페24 API 구조 한눈에 보기
카페24는 전체 쇼핑몰 운영 기능을 API로 제공합니다. 상품, 주문, 고객, 배송, 리뷰, 혜택, 커뮤니티 등 거의 모든 데이터가 API 형태로 제공되며, 이를 활용해 실시간 데이터 수집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카페24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API 리소스 다이어그램입니다. 연두색으로 표시된 리소스는 실제 API 호출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항목들이며, 쇼핑몰 운영 데이터 전반을 자동화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출처: 카페24 API 리소스 다이어그램. 카페24
카페24 API 데이터 조회 - GET 메서드 중심 정리
카페24의 API는 기본적으로 RESTful 방식을 따르며, 각 리소스에 대해 생성(Create), 조회(Read), 수정(Update), 삭제(Delete)를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지원합니다.
이 중 집중해서 다룰 방식은 GET 메서드입니다. GET 메서드는 카페24 내 특정 리소스의 데이터를 조회하고 불러오는 데 사용하는 요청 방식으로, 상품 목록, 주문 내역, 회원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dev.to/williamragstad/how-to-use-ajax-3b5e
상품 데이터나 주문 내역을 자동으로 수집하기 위한 API 호출이 대부분 GET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반면, POST(생성), PUT(수정), DELETE(삭제) 메서드는 주로 상품 정보를 새로 등록하거나 수정하고, 특정 데이터를 제거하는 등 시스템 연동이나 운영 자동화 수준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데이터를 불러와 Google Sheets로 정리하고 분석하는 흐름에 초점을 맞추는 만큼, GET 메서드를 중심으로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페24 API에서 GET 방식으로 데이터를 호출하고, Google Sheets에 자동으로 정리하는 실무 활용 흐름을 중심으로 소개드리겠습니다.
카페24 API 인증 구조
“쇼핑몰 데이터를 자동화하려면 인증 구조부터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페24 API를 통해 상품, 주문, 회원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려면 가장 먼저 거쳐야 할 단계가 OAuth2 기반의 인증 프로세스입니다. 이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됩니다.
인증 코드(code) 발급
액세스 토큰(access_token) 발급
리프레시 토큰(refresh_token)을 통한 토큰 갱신
카페24는 이 과정을 표준 OAuth 2.0 인증 흐름에 따라 제공합니다. 이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면, 안정적으로 API를 연동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
1. 인증 코드 발급 (Authorization Code)
API 호출을 시작하기 전, 클라이언트는 인증 코드를 먼저 발급받아야 합니다. 이 인증 코드는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요청해야 하며, 발급 후 1분 이내에만 유효합니다.
요청 URL 구조:

mallid
: 해당 쇼핑몰의 IDclient_id
: 앱 등록 시 발급된 고유 IDstate
: 위변조 방지를 위한 문자열 (요청과 응답 시 동일해야 함)redirect_uri
: 인증 후 리디렉션될 URIscope
: 요청하려는 권한 (예:mall.read_product
,mall.read_order
등)
응답 예시:

2. Access Token 발급
발급받은 인증 코드를 이용해 API 호출에 사용할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요청합니다. 이 과정은 서버 간 통신에서 이루어집니다.
요청 예시:

응답 예시:

access_token
은 약 2시간 동안 유효합니다.refresh_token
은 약 2주 동안 유효하며, access_token 갱신 시 사용됩니다.
3. Refresh Token을 통한 Access Token 재발급
Access Token의 유효 시간이 지나면, 새로 로그인하지 않아도 refresh_token
을 이용해 다시 토큰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요청 예시:

응답 예시:

카페24 API로 원하는 데이터만 정확하게 가져오기
카페24 API는 단순히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능을 넘어서, 조건별 필터링, 범위 지정, 페이징 처리, 하위 리소스 포함 등 실무에서 필요한 다양한 조회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GET 방식의 API 호출 시 활용할 수 있는 주요 파라미터를 정리해 드립니다. Google Sheets와 연동하여 필요한 정보만 정리해 보는 데 매우 유용한 기초가 될 수 있습니다.
1. 조건 검색 파라미터 활용
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조건을 붙여 요청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브랜드 코드가 B000000A
인 상품 중에서 판매가가 1,000원 이상인 상품만 가져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호출할 수 있습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brand_code=B000000A&price_min=1000
날짜 범위를 활용한 조회도 가능합니다.
등록일 기준: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created_start_date=2018-01-03&created_end_date=2018-02-03
수정일 기준: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updated_start_date=2018-01-03T14:01:26+09:00&updated_end_date=2018-02-03T14:01:26+09
2. 콤마(,)로 다중 조건 지정
콤마(,)를 활용해 여러 값을 동시에 조회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번호 11, 12, 13번의 상품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구성합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product_no=11
또는 상품번호와 상품코드를 함께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product_no=11,12,13&product_code
“단, 콤마로 조회 가능한 값은 최대 100개까지만 가능합니다.”
3. 멀티쇼핑몰(shop_no) 지정
카페24는 여러 개의 쇼핑몰을 운영할 수 있는 멀티몰 구조를 지원합니다. 특정 몰(shop_no)의 데이터만 가져오고 싶을 때는 shop_no
를 파라미터로 추가하면 됩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products?shop_no=2
4. 상세 조회 vs 단건 조회
특정 리소스 하나만 조회하고 싶을 땐 상세 조회 또는 단건 조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세 조회 (리소스 경로에 ID 직접 삽입):
단건 조회 (리스트 API에서 조건 파라미터로 지정):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admin/products?product_no=128
5. Pagination (페이징 처리)
데이터가 많을 경우 한 번에 다 가져올 수 없기 때문에, limit
과 offset
파라미터를 함께 사용합니다.
처음 100개 가져오기: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admin/products?limit=100
201번째부터 300번째까지 가져오기: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admin/products?limit=100&offset=200
6. 필요한 항목만 조회 (fields)
조회 결과에서 모든 항목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fields
파라미터를 사용해 필요한 필드만 요청할 수 있습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admin/products?fields
7. 하위 리소스(embed) 함께 조회
한 API 요청에 여러 관련 정보를 한꺼번에 받고 싶을 때는 embed
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와 함께 품목 및 재고도 함께 불러올 수 있습니다.
GET https://{mallid}.cafe24api.com/api/v2/admin/products/570?embed
Google Sheets로 카페24 API 연동
아래 이미지는 실제 카페24 API를 통해 가져온 데이터를 구글 시트에 정리한 샘플입니다.

출처: 위그로스 제공 (직접 생성된 카페24 API 샘플 데이터)
이처럼 카페24 API를 활용하면, 상품 정보뿐 아니라 주문일자, 결제수단, 방문자수, 페이지뷰 같은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자동 수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데이터를 구글 시트로 가져오면, 광고 매체에서 가져온 유입 데이터와도 쉽게 연결해 캠페인별 성과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카페24 주문 데이터 + 네이버 클릭수 비교
특정 제품 매출 + 페이스북 광고 캠페인 비용 분석
브랜드별 구매율 + 방문수 대비 전환률
이렇게 카페24 API와 광고 매체 API를 활용해 데이터 수집을 자동화하여 한 곳에 모으면, 어떤 캠페인이 실질적인 매출로 이어졌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글에서는 카페24 API를 활용해 Google Sheets에 운영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카페24는 상품, 주문, 고객, 리뷰 등 쇼핑몰 운영의 거의 모든 영역을 API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반복적인 수작업을 줄이고,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운영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카페24의 결과데이터(실제 매출, 방문자 수 등)와 광고 매체별 유입데이터(메타,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를 유기적으로 연결해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기업 내 모든 실무자와 의사결정권자가 쉽게 접근 가능한 Google Sheets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며,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 의사결정
이 가능합니다.
카페24 운영 데이터와 광고 매체 데이터를 따로 관리하고 계시거나, 일일히 캠페인별 성과를 정리하여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신다면, 저희 위그로스가 함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업무의 병목현상을 해결하는 첫 걸음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 위그로스가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